본문 바로가기
오늘도 주식 시황

오늘도 주식 시황 2020.12.17 증시 장마감

by 인생은 전략 2020. 12. 17.

오늘의 주요 내용 키워드 : 코스피 금융투자 매수, 코스닥은 외인·기관 매수 , 코스닥 18년만에 최고치 경신, 주식 장기 보유시 세금 혜택, 기업공개(IPO) 일반청약자의 공모주 배정기회 확대, 내년 내수활성화 독려 정책, OMC 주인공은 Green 뉴딜과 비트코인, D램 현물가 6.5% 상승, 각 기업 공시, 장마감 기준 52주 신고가 종목과 하락 종목, 각 업종별, 각 테마별 변동폭 정리.

 

 

 

[국내 주가지수 및 각 코멘트 및 금일 주요 이슈 및 다음일정]

코스피 2,770.43 (-0.05%)


- 개인 +3,264억

외국인 -3,011억

기관 -322억

 

comment :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개인이 매수 포지션을 취했으며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 / 개인은 3264억 원을 순매수 했으며 기관은 326억 원을, 외국인은 3011억 원을 각각 순매도 / 금융투자 매수세 유입에 기관 순매도 줄자 코스피 낙폭 축소 / 금융투자 오후 들어 대형 제조업, 전기전자 업종에서 매수세 

 

 

『코스피 업종별 현황』

- 상승

전기가스업(+1.40%)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띔.

운수장비(+1.23%) 의료정밀(+0.95%)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임

 

- 하락

건설업(-1.12%) 철강및금속(-0.56%) 등의 업종은 하락

 

 

『코스피 테마별 현황』

- 상승

 PCB생산(+3.05%), 플렉서블 디스플레이(+2.08%), 풍력에너지(+1.69%), 자동차(+1.48%), 금(+1.43%) 관련주 테마의 상승

 

- 하락

여행·관광(-1.72%), 자전거(-1.43%), 엔터테인먼트(-1.34%), 전자결제(-1.34%), 카지노(-1.20%) 관련주 테마는 하락

 

 

『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』

: 5개 종목이 오름세

 

- 상승

SK하이닉스가 1.70% 오른 11만9500원에 마감

SK이노베이션(+1.59%), LG화학(+1.34%)이 상승세

 

- 하락

삼성전자는 0.68% 내린 7만3300원을 기록

현대모비스(-2.35%), LG생활건강(-2.12%), KB금융(-1.74%)은 하락

 

 

『그외』

대웅(+29.61%), 명신산업(+26.75%), 이스타코(+20.19%) 등의 종목의 상승

대웅제약(+30.00%), 디아이씨(+29.91%) 등이 상한가를 기록

파미셀(-8.27%), 빅히트(-6.65%), 한창(-6.18%) 등은 하락

 

 

『코스피 마무리』

최종 상승 종목은 354개, 하락 종목은 489개이며 나머지 65개 종목은 보합 마감


 

 

 

코스닥 944.04 (+0.47%)


- 개인 -1,097억

- 외국인 +560억

- 기관 +816억

 

comment : 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매수, 개인은 홀로 매도세 / 기관은 816억 원, 외국인은 560억 원을 각각 매수 했으며 개인은 1097억 원을 매도 / 코스닥은 외인·기관 매수에 강보합 마감 / 코스닥 02년 3월 이후 18년 만에 최고치 경신 / 백신 배포에 V자 경기 회복 확신..중소형주에 자금 유입 풀이

 

 

『코스닥 업종별 현황』

- 상승

부동산(+3.24%)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짐.

기타서비스(+2.08%) IT H/W(+1.01%) 등의 업종이 상승세

건설(+0.89%) 금융(+0.57%) 제조(+0.36%)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

종이·목재(+0.84%) 전기·전자(+0.77%) 화학(+0.40%)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

 

- 하락

광업(0.00%) 교육서비스(-2.31%) 등의 업종은 하락

농림업(-1.31%) 통신방송서비스(-1.00%) 숙박·음식(-0.94%)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

유통업(-0.46%) 음식료품(-0.31%) 운수창고(-0.24%)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

 

 

『코스닥 테마별 현황』

- 상승

PCB생산(+3.05%), 플렉서블 디스플레이(+2.08%), 풍력에너지(+1.69%), 자동차(+1.48%), 금(+1.43%) 관련주 테마의 상승

 

- 하락

여행·관광(-1.72%), 자전거(-1.43%), 엔터테인먼트(-1.34%), 전자결제(-1.34%), 카지노(-1.20%) 관련주 테마는 하락

 

 

『시가총액 상위 20개종목 현황』

 : 13개 종목이 상승세

 

- 상승

SK머티리얼즈가 7.68% 오른 32만8000원을 기록

솔브레인(+7.33%), 에코프로비엠(+4.19%)이 상승세

 

- 하락

CJ ENM(-2.50%), 메드팩토(-1.75%), 스튜디오드래곤(-1.64%)은 하락

 

 

『그외』

메디콕스(+30.00%), 에프앤리퍼블릭(+30.00%) 등이 상한가 기록

네스엠(+25.12%), 아이엠(+22.78%), 티케이케미칼(+22.17%) 등의 종목이 상승

디바이스이엔지(-18.49%), 더블유에스아이(-12.08%), 이씨에스(-9.43%) 등은 하락

 

 

『코스닥 마무리』

최종 상승 종목은 621개, 하락 종목은 685개이며 나머지 81개 종목은 보합

 

 

『외환시장』

원달러 환율이 1093원(+0.21%)으로 상승세

일본 엔화는 1058원(+0.20%), 중국 위안화는 168원(+0.15%)을 마감


 

 

 

금일 이슈와 강세 업종 및 특징주 및 관심 업종주 및 내일 주요 일정


<출처 : 기획 재정부>

『주식 장기 보유시 세금 혜택』

- 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열고 `2021년 경제정책 방향`을 확정해 발표

- 정부가 내년 2021년 중 장기 주식 투자에 대해 우대세율 등을 적용하는 세제 지원을 검토해서 발표하기로함.(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장기 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)

- 2023년부터 장기 주식 투자에 대해 우대세율 등을 적용(금융투자소득세 시행에 대비)

-주식·채권·리츠 등 금융시장으로 장기 투자를 유도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고 정권 말 금융 리스크와 집값 안정에 방점을 찍겠다는 의도

- 내년 만기 때 기본 이자의 30% 이상을 얹어주는 개인투자용 국채를 도입할 계계획.(장기투자유도)

 

 

『기업공개(IPO) 일반청약자의 공모주 배정기회 확대』

- 일반청약자의 공무주 배정기회 확대를 위해 공모주 배정물량 확대·균등배정 방식을 도입 예정.

- 최소 청약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청약자에게 균등배정 하는 방식.

공모주 배정 물량을 최대 5% 확대

 

 

『내년 내수활성화 독려 정책

- 신용카드 5% 더 쓰면 내년 최대 100만원 추가 소득공제 / 내년 신용카드 사용액을 올해보다 늘릴 경우 추가 소득공제 또는 소비세 인하 및 환급 조치 등을 통해 새 차와 고효율 가전기기 구매를 유도. /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"소비 증가분에 대해 현행 공제율 15%(신용카드)~40%(전통시장)와 별도로 추가 공제율 10%를 적용할 방침"

- 내년 고효율가전 구입비 20% 돌려준다.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.

  (냉장고와 에어컨, 세탁기, TV, 의류건조기 등 11개 품목의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제품)

-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을 내년 6월까지 연장하기로.(2020년 올해 말 종료 예정이었음.)

- 18조원 규모의 온누리·지역상품권 상품권을 발행해 온라인 소비를 독려(배달앱 등 온라인 사용 확대)

   

- 외식·숙박 소비쿠폰 5천억 배정 / 바우처는 교환권, 쿠폰은 할인권 개념

  기재부 관계자는 "4+4 쿠폰 같은 경우 예산이 5000억원 들어가지만 2조원 정도로 소비를 뒷받침하는 효과가 있다"고 설명

   (배정된 4대 바우처 및 4대 쿠폰의 사용처를 대면서비스업과 밀접한 품목의 온라인 구매·사용으로 확대)

 

 

『FOMC 주인공은 Green 뉴딜과 비트코인

- 올해 마지막 FOMC가 종료.

-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 동결, 채권 매입 지속 등의 약속이 나옴.

- 지속적인 부양책을 약속한만큼 정책 불확실성은 해소됐고, 주식시장의 강세는 이어질 전망

- 이번 FOMC 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FOMC 에서 기후변화 방지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피력

  기후변화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던 트럼프 대통령의 퇴진과 맞물린 시점이라 시사하는 바가 큼.

  2007 년 이후 EU 가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에너지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지만, 미국은 그 속도 가 느리고 트럼프 대통령 때 속도는 더욱 느려짐.

  (SK증권은 이번 FOMC에서 기후변화 언급이 주목할 만하다고 분석)

- 바이든은 향후 4 년간 2 조달러의 투자계획을 발표

  재원조달이 관건, 그동안 주 정부에 전가했던 예산을 연방정부도 부담하겠다는 의지를 바이든 당선인이 약속

  연준(Fed)에서도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

- SK증권은 이번 FOMC의 또 다른 주인공은 비트코인이라고 언급

- 이번 FOMC 를 전후해 비트코인 가격은 사상최고치를 경신

-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기관, 기관 투자자들의 잇따른 시장 진출로 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이라 전망

- 막대한 유동성과 달러의 시장공급으로 화폐가치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분석

- 달러약세에 대한 압력도 높아질 것으로 보이고, 그 대안으로 비트코인이 부각될 수 밖에 없다고 예상

 

 

『D램 현물가 6.5% 상승, "내년 1Q부터 반등 온다."

- 전일 조사기관 디램익스체인지가 집계하는 DRAM 현물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

- DDR4-2400 8Gb 제품이 6.5% 상승한 3.22 달러를 기록

- 마이크론 대만 팹 정전 이후 국내 DDR4-2666 8GB 제품 가격이 약 30% 상승한 37,000원대 기록

- 현물 가격 상승은 이러한 주요 시장의 가격차를 반영한 결과는 NH투자증권의 분석

- NH투자증권은 내년 1분기 메모리 수요가 기존 시장 추정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

- 12월부터 페이스북, 아마존,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하이퍼스케일러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재개

-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요 증가로 2020년 PC 판매가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

- 디램익스체인지 전망에 의하면 1분기 PC 판매는 7,421만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2% 증가할 것으로 예상

- 늘어나는 수요 대비 공급은 타이트한 수준을 유지 중인 것으로 알려짐

 

 

『강세업종

1) 2차전지 소재

 - 엘앤에프 2차전지 양극재 공급에 소재 업체들 추가 공급 소식 기대감 형성

 - 유진투자 "내년 유럽 전기차 판매량 급증, 바이든 당선으로 재성장세 전환 예상"

 - 산업연구원의 조 바이든 당선인 최대 수혜는 2차전지 분석도 나와

 - 상승 종목 : 새로닉스, 아모그린텍, 상아프론테크, 코스모신소재 등

 

2) 반도체 장비 

- 올해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 역대 최대치인 689억 달러(약 75조원) 전망

-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(SEMI), 내년에는 +4.35% 증가한 719억 달러(약 79조원) 전망

- 반도체 전공정 장비뿐만 아니라 후공정도 꾸준한 성장세 전망

- 상승 종목 : 유니셈, 피에스케이, 에스티아이, 테스 등

 

 

『특징주

- 디아이씨 : 테슬라에 감속기 기어 및 샤프트 부품 공급에 上

- 메디콕스 : 자회사 골관절염 소염 진통제 임상 1·2상 승인 소식에 부각

- 위지트 : 비트코인 2만 달러 돌파에 관련株 동반 강세

- 아나패스 : 중화권향 상당한 매스 모델 수주 분석에 상승

- 빅히트 : 사모펀드 블록딜 소식에 하락

 

 

『관심 테마주

- 탄소 배출권 관련주

- 디지털자산 관련주

- 태양광 관련주

- 풍력 관련주

- 종합반도체 관련주

- 시스템반도체 관련주

- 2차전지 소재 관련주 

- 반도체 전공정 장비 

- 반도체 후공정 장비

 

 

『내일 주요 일정

 

- 기재부, 12월 최근경제동향 발표

- 美,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(현지시간)

- 美,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


 

 

 

 

『장 마감 후


『코스피-기업공시

▲신성이엔지(011930)=증평공장 내 솔라셀 생산 중단

▲롯데쇼핑(023530)=호텔롯데와 서울 중구 소공동 소재 롯데쇼핑센터빌딩 지하 1층 푸드코트·아케이드 및 롯데백화점 본점 토지 임대차계약 체결

▲SK바이오팜(326030)=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기술 수출 계약 지역 유럽 내 32개 국에서 유럽내 41개 국으로 정정

▲종근당(185750)=보통주 54만 410주 무상증자 결정

▲두산(000150)=두산중공업에 대해 6,039억 원 담보제공 결정

▲에스엘(005850)=자회사인 SL AP Private Limited에 423억 7,736만 원 채무보증 결정

▲SK가스(018670)=종속회사 울산지피에스에서 시설 자금 75억 원 및 운영 자금 175억 원 조달 목적으로 주주배정 방식으로 보통주 500만 주 유상증자

▲부산주공(005030)= 제 8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5억 원 발행 결정

▲폴루스바이오팜(007630)=운영자금 부족으로 대출 원리금 65억 1,190만 원 연체

▲비비안(002070)=최대주주 광림(014200)이 보유 주식 일부를 쌍방울에 양도하는 계약 체결, 계약 마무리 시 최대주주 쌍방울로 변경 예정 <17일>

 

 

『코스닥-기업공시

▲솔브레인(357780)=최대주주 정지완 외 8명에서 솔브레인홀딩스 외 7명으로 변경

▲대한그린파워(060900)=리프텍 주식 40만 주 50억 원에 취득 결정

▲케이엔제이(272110)=제 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 통해 이든 주식 1만 8,000주 40억 원에 취득

▲셀트리온제약(068760)=주당 보통주 0.02주 주식배당 결정

▲매일유업(267980)=여성가족부 ‘가족 친화 인증’ 유효기간 2023년 11월 30일까지로 연장

▲서울제약(018680)=거래 상대방의 통보로 인해 86억 원 규모 치매·조현병 치료제 구강 붕해 필름(ODF) 및 37억 원 규모 완제 의약품 판매 공급계약 해지

▲포비스티앤씨(016670)=제 4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100억 원 발행 결정

▲장원테크(174880)=관계회사 케이에이치미디어에 대해 1,087억 원규모 채무보증 결정

▲KMH하이텍(052900)=윤성석 씨가 신청한 소송 판결 결과 피고가 원고에 8억 8,900만원 지급하도록 판결

▲트루윈(105550)=웨이브트로닉스가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 결과 원고의 청구 기각

▲켐온(217600)=유동성·투자재원 확보 목적으로 보통주 359만 9,014주 약 180억 원에 처분 결정

▲해덕파워웨이(102210)=강홍철 씨가 주주총회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

▲더블유에프엠(035290)=회생 계획 인가 결정에 따른 신주 발행으로 최대주주 우국환 외 4인에서 에스제이더블유&골드 투자조합 외 3인으로 변경

▲광림=제 5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만기 전 222억 4,158만 원 취득 <17일>

 

 

장마감 기준 52주 신고가 종목

대웅제약 30%, 대웅 29.61%, 삼화페인트 29.56%, 이즈미디어 21,56%, 동신건설 20.26%, 현대바이오 18.47%, 덕신하이메탈 18.04%, KG ETS 17.95%, 제룡산업 17.45%, 새로닉스 16.89%

 

 

장마감, 코스닥 하락 종목

17일 코스닥 시장에서 하락한 종목으로 디바이스이엔지(187870) -18.5%, 더블유에스아이(299170) -12.1%, 이씨에스(067010) -12.1% 등이 있다.

 

 

장마감, 코스닥 상승 종목

17일 코스닥 시장은 상승 612개, 하락 683개, 보합 92개로 마감했다. 상승한 종목으로 메디콕스(054180) 30.0%, 에프앤리퍼블릭(064090) 30.0%, 이녹스(088390) 29.7% 등이 있다. ​

 

 

장마감, 코스피 하락 종목

17일 거래소 기준으로 하락한 종목은 파미셀(005690) -8.3%, 빅히트(352820) -6.7%, 한창(005110) -6.7% 등이 있다.

 

 

장마감, 코스피 상승 종목

1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-1.36p 하락한 2,770.43에 거래를 마감했다. 당일 상승한 종목의 수는 352개, 하락 493개, 보합 63개이다. 상승한종목으로 대웅제약(069620) 30.0%, 디아이씨(092200) 29.9%, 대웅(003090) 29.6% 등이 있다.


 

 

 

 

『특징주


1)동신건설

- 장 마감 직전 '급등세'동신건설이 장 마감을 앞두고 급등세.
- 17일 오후 3시19분 기준 동신건설은 전일 대비 19.23%(3750원) 상승한 2만3250원에 거래되고있었음.
- 동신건설은 전 거래일인 지난 16일 14.71%의 큰 상승폭으로 거래를 마침, 이날 외국인이 2만7599주를 순매수
- 동신건설은 이재명 경기지사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 본사가 있다는 이유로 이재명 관련주로 분류되기도 함.


댓글